본문 바로가기
애드센스 와 애드핏 그외 어필리에이트

애드핏 기초부터 알아가자_02 (수익관련)

by 너만배고파나도배고파 2018. 10. 28.
반응형

다음 애드핏 광고 올릴려는 이유가 뭘까요. 바로 광고 수익을 얻기위함아닐까요.

수익이 생겨야 다른이와 또 차별화된 컨텐츠를 만들고싶고 또 그런 컨텐츠를 보면서 광고에도 다시 도움되고 
선순환을 위해선 당연 광고 수익의 배분이 중요한데 네이버의 애드포스트 보다는 애드핏이 훨 좋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다음애드핏 수익애드핏 적립금확인구조

가입후 게재하고자하는 사이트나 블로그등을 승인심사 받고 광고코드 만들어서 게재하기 시작하면 
그날 당일에 관련한 수익을 다음날 알수있습니다. 
확인해보니 다음날로 넘어가는 자정이후에 바로 보여지는건 아닌듯합니다. 오전 7시 이후정도에 알수있다고 하기도합니다.

적립금신청 가능 금액 (5만원) 이상이 되면 지급신청후 계좌로 받을수있다고 합니다.
한달이내라고 하는데 얼마나 정확히 걸릴지는
저도 이제 시작한거라 받아본적없으니 추후에 그런날이오면 다시 포스팅 해야겠습니다.

애드핏 적립금 지급과정애드핏 적립금 지급과정

예시를 올려준걸 보면 1월에 적립금들이 쌓였고 1월치에 대한 확정 적립금을 2월 20일에 전환되고 그달 말일까지 확정된 적립금을 신청하면 그 그금액이 3월 20일에 계좌로 지급된다고 알려줍니다.

그럼 예상 적립금은 무엇일까

- 예상적립금이란 매체가 광고게재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금으로, 이는 매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사의 운영 기준에 따라 해당 금액은 언제든지 보정이 될 수 있습니다. 라고 안내합니다. 
그러니 매일 다음날 확인되는 이 금액이 진짜가 아닐수있으니 너무 좋아하기만 할수는 없다는 뜻같은데 확정과 얼마나 차이가 날런지 
이부분은 계속 진행하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확정적립금은 또 무엇인가

-확정적립금이란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예상적립금이 매월 1회 전환된 금액을 말합니다.
전환된 확정적립금이 5만 원 이상일 경우 지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라고 안내합니다. 
그럼 확정 적립금이 나올때에야 애드핏하는 우리들은 정확한 금액을 알수있는 거겠네요.

또한 적립금이 발생한 상태에서 장기간 활동이 없거나, 발생한 적립금을 장기간 지급 요청하지 않은 경우, 적립금은 임의 회수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이 제일 중요합니다. 괜히 회수당해서 다음만 좋은일 시키지 말자구요.


애드핏 보고서애드핏 보고서 제공

애드핏의 광고 보고서는 복잡하지않아보입니다. 구글애드센스를 접했을때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해줘서 따로 공부를 해야겠구나 했었다면
애드핏의 보고서는 일단 그래프로 딱딱보이는게 전부라서 어제 어느정도였구나 어떻게 수익이 나오고있구나 한눈에 볼수있는게 편리합니다.


애드핏 수익애드핏 수익과 보고서 확인

위의 사진은 카카오에서 예시로 올려준것입니다. 사용자본인의 애드핏을 다 공개해도 되는건지 아닌지 몰라서 아직 제것은 올리지 못했습니다. 우선 광고단위 생성하고나면 광고단위별로 어떻게 수익이 났는지 알수있습니다. 일단 다 어려워서 맨 오른쪽에 예상적립금만
저는 확인하는 정도입니다. 

다음 카카오에선 저정도 수익이 나나봅니다. 아 부럽습니다. ㅎ 


광고요청수'는 무엇?

'광고요청수'란 매체에서 광고를 요청한 횟수입니다. 각 광고단위에서 광고를 요청할 때마다 1회로 계산합니다.

광고노출수'는 무엇?

'광고노출수'란 매체에서 실제로 노출한 광고의 횟수입니다.
각 광고단위에서 실제 광고를 노출할 때마다 1회로 계산합니다.

(광고 요청수과 같을수도있지만 대부분 광고 노출수가 좀더 수치가 낮습니다.)


'클릭수'는 무엇인가요?

'클릭수'는 매체에 게재된 광고를 실제 사용자가 클릭한 횟수입니다.
AdFit에서는 내부 규정에 따라 무효 클릭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 중 유효 클릭에 대해서 1회로 계산합니다.

(호기심에 게시자가 자신의 사이트에 걸린 광고를 클릭을하던 아니면 다른의도건 다음애드핏에서 다 필터링한다는 이야기)

'Fill-rate'은 무엇?

'Fill-rate'란 광고 요청 대비 실제 노출한 광고의 비율을 뜻합니다.
즉,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ill-rate = 총 광고노출수 / 총 광고요청수


'CTR'은 무엇인가요?

'CTR'이란 'Click-through rate'의 약자로 실제 광고 노출 수 대비 클릭 수 비율 즉, 광고 클릭률을 뜻합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TR = 클릭 수 / 광고 노출 수
CTR 지수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CPC'는 무엇?

Cost Per Click'의 약자로 1회 클릭당 비용을 의미합니다.
매체 및 광고단위별로 한 클릭당 벌어들이는 CPC 값을 제공하고있습니다.또한, CPC는 광고주의 입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즉 고정된 CPC 단가는 없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 

'eCPM'은 무엇?

'eCPM(Effective cost per 1000 impressions)'은 1,000회 노출 기준으로 얻을 수 있는 예상 광고 수익을 뜻합니다. 

- eCPM = 총 광고 수익 / 총 광고 노출 수 x 1000


사실 일단 걸어두기만했고 수익이 크게 나는게 아니어서 자세한 내용까지는 꼼꼼히 보지않고 예상수익만 보면서 신기해하는 중이라
용어정리를 이번에 한번보면서 조금 이해하게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차차 수익이 나게되면 좀더 분석적으로 저 용어들을 자주 쓸지도 모르겠습니다.

애드센스보다 나을수도있는 다음 애드핏 기초부터 튼튼하게 알아가자_01


반응형

댓글